현대 건축물은 인간의 생존(Survival), 평안(Comfort), 쾌락(Enjoyment), 생산(Production)을 목적으로 주변 환경으로부터 천연자원을 소모, 그 부산물을 다시 환경을 되돌리고 있으며 그 결과 축적된 자원의 고갈과 환경의 오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 세대의 향유를 위한 무분별한 개발 및 남용은 다음 세대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등은 이러한 예의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부정적인 순환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선언과 더불어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러한 생존의 문제와 직결된 지속가능성의 개념에 근간한 저의 관심 분야는 건축물 관련 환경의 유지 및 평가, 지속가능한 설비의 개발, 적용 그리고 제어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이론 등의 적용을 통한 최적 제어, 환경 센서 및 통신네트워크 등의 정보기술의 접목, 그리고 각종 성능 평가 시뮬레이션 툴의 적용에 관한 연구 및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자연형 시스템 그리고 에너지 효율적 혹은 에너지 생산적 요소 등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요소들의 개발 및 적용으로 분야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의 에너지(Energy), 경제성(Economic), 그리고 환경적(Environmental)측면에서의 평가 방법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도교수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초빙교수
정민희(鄭民姬)